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메서드
- 객체
- array
- 내장 객체 영역
- 접근제어자
- 커넥션 풀
- 예외처리
- try-catch
- StringBuffer클래스
- 예외
- I/O
- JSP
- 입출력
- 인터페이스
- java
- 에러
- for문
- 다형성
- ToString
- DB
- 상속
- 객체지향
- 배열
- 제어자
- 변수
- Interface
- 람다식
- File입출력
- Connection
- StringBuffer
Archives
- Today
- Total
ksouth9
MVC 패턴 본문
MVC패턴은 디자인 패턴 중 하나이다. 디자인 패턴이란 프로그램이나 어떤 특정한 것을 개발하는 중에 발생했던 문제점들을 정리해서 상황에 따라 간편하게 적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정리하여 특정한 규약을 통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든 것이다.
MVC란,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이다.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그 구성요소를 세가지의 역할로 구분한 패턴이다.
Model
-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
- 업무 처리 로직(비즈니스 로직) 혹은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작업을 담당한다.
View
- 화면 출력을 담당하는 부분
- JSP 페이지와 같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부분을 담당한다.
- Java의 JSP 파일부분
Controller
- Model과 View를 제어하는 부분
-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서 그 요청을 분석하고, 필요한 업무 처리 로직(모델)을 호출한다. 모델이 결과값을 반환하면 출력할 뷰(JSP 페이지)를 선택한 후 전달한다.
MVC패턴 사용 이유
클라이언트가 보는 페이지, 데이터처리 그리고 두 가지를 중간에서 제어하는 컨트롤러 세 가지로 구성되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게 되면 각각 맡은 일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된다. 하나의 역할만 맡게 되면 더 집중 할 수 있는 것이다.
각각의 기능들이 분리 되어 있기 때문에 업무 분담이 명확해지고 코드가 간결해진다. 추후에 유지보수하기에도 편해진다.
'Web >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O(Data Access Object) (0) | 2022.07.03 |
---|---|
DTO(Data Transfer Object) (0) | 2022.06.16 |
JSTL(JSP Standard Tag Library) (0) | 2022.06.14 |
표현 언어(EL) 연산자 (0) | 2022.06.14 |
Redirect VS Forward 차이점 (0) | 2022.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