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outh9

데이터 모델링 본문

Database

데이터 모델링

ksouth9 2022. 9. 29. 15:17

데이터 모델링


정보시스템 구축의 대상이 되는 업무 내용을 분석하여 이해하고 약속된 표기법에 의해 표현하는 것

 

분석된 모델을 가지고 실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여 개발 및 데이터 관리에 사용되는, 데이터 베이스 설계의 핵심 과정

 

데이터 모델링 순서(절차)

  1. 업무 파악 - 우리가 하려는 '일'이 무엇인지, 개발자와 의뢰인이 '어떤 것을 만들고 싶은지'
  2.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 하고자 하는 일에는 '어떤 개념' 이 있고, 각각의 '개념들이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 파악
  3.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패러다임에 맞게, '표' 로 그림을 그린다.
  4.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 어떤 데이터베이스 제품을 사용할지, 코드를 작성할지 지정한다.

 

업무파악


해당하는 업무에 대해서 파악하는 단계

  • 업무파악을 제대로 하지 못했는데, 정확한 모델링을 할 수 없다.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내가 하고자 하는 일의 데이터 간의 관계를 구상하는 단계

  • 개념적 데이터 모델은 추상화 수준이 높고 업무중심적이고 포괄적인 수준의 모델일을 수행한다.
  • 주요 활동으로는 핵심 엔터티와 그들간의 관계를 발견하고, 그것을 표현하기 위해서 엔터티-관계 다이어그램(ER 다이어그램) 생성하는 것.
  • 데이터베이스 ERD 다이어그램 테이블 표를 그리기전에 간단하게 도형으로 만들어보는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엔터티 중심의 상위 수준의 엔터티 중심의 모델이 완성되면, 구체화된 업무중심의 데이터 모델을 만들어 내는데 이것을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이라고 한다.

  • 단계에서는 업무에 대한 Key, 속성, 관계 등을 표시하며, 정규화 활동을 수행
  • 정규화는 데이터 모델의 일관성 확보하고, 중복을 제거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 구조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에서 구현한 ER 다이어그램을 테이블 형태로 재구성 한다.
  • 단계에서는 단순히 추상적인 데이터에서 보다 구체화적인 데이터로 작성한다.
  • 데이터 타입을 명시하고, 데이터간의 관계를 정밀하게 맺어주며, 테이블의 (key) 지정한다.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은 최종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할 데이터 베이스를 선택하고, 선택한 데이터 베이스에 실제 테이블을 만드는 작업

  • 시각적인 구조를 만들었으면 그것을 실제로 SQL 코딩을 통해 완성하는 단계

요약

  1. 네이버 게시판의 화면에 어떠한 것들이 필요한지에 대한 개념을 잡는 업무파악 단계
  2. 네이버 게시판의 화면에 표현되는 데이터들을 파악해서 관계를 설정하는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3.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것을 표로 만드는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4. 이련의 과정을 수행한 것을, 실제 데이터베이스에 만든는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JOIN(조인)  (0) 2022.11.16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0) 2022.05.09
데이터베이스(Database) - 기초  (0) 2022.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