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outh9

변수(2) 본문

Java

변수(2)

ksouth9 2022. 3. 1. 22:48

변수의 타입


  •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값(data)의 종류(type)는 크게 '문자와 숫자'로 나눌 수 있으며, 숫자는 다시 '정수와 실수'로 나뉜다.
  • 값(data)의 종류(type)에 따라 값이 저장될 공간의 크기와 저장형식을 정의한 것자료형(data type)이다.
  • 자료형에는 문자형(char), 정수형(byte, short, int, long), 실수형(float, double) 등이 있다.

기본형


기본형 변수

  • 실제 값(data)을 저장한다.
  • 논리형(boolean), 문자형(char), 정수형(byte, short, int, long), 실수형(float, double)
  • 계산을 위한 실제 값을 저장한다. 8개
타입 설명
논리형(boolen) true와 false 중 하나를 값으로 가지며, 조건식과 논리적 계산에 사용된다.
문자형(char) 문자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변수에 하나의 문자만 저장할 수 있다.
정수형
(byte, short, int, long)
정수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주로 int가 사용된다.
실수형(float, double) 실수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주로 double이 사용된다.

참조형


참조형 변수

  • 어떤 값이 저장되어 있는 주소(memory address)를 값으로 갖는다.
  • 객체의 주소를 저장한다. 8개의 기본형을 제외한 나머지 타입.

참조형 변수(또는 참조변수)를 선언할 때는 변수의 타입으로 클래스의 이름을 사용하므로 클래스의 이름이 참조변수의 타입이 된다. 그래서 새로운 클래스를 작성한다는 것은 새로운 참조형을 추가하는 셈이다.

 

참조변수 선언방법

클래스이름 변수이름;	//변수의 타입이 기본형이 아닌 것들은 모두 참조변수이다.
Date today = new Date();	//Date객체를 생성해서, 그 주소를 today에 저장

객체를 생성하는 연산자 new의 결과는 생성된 객체의 주소이다. 이 주소가 대입연산자'='에 의해서 참조변수 today에 저장되는 것이다. 이제 참조변수 today를 통해서 생성된 객체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수


변수와 달리 한 번 값을 저장하면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없다.

 

상수 선언방법

  • 변수의 타입 앞에 키워드 'final'을 붙여준다.
  • 상수는 반드시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해야 하며, 그 후 부터는 상수의 값을 변경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 상수의 이름은 모두 대문자로 하는 것이 암묵적인 관례이며, 여러 단어로 이루어져있는 경우'_'로 구분한다

 

final int MAX_SPEED = 10;	//상수 MAX_SPEED를 선언 & 초기화

리터럴

  • 그 자체로 을 의미하는 것
  • 기존에 알고 있던 '상수'의 다른 이름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건문(2) - if, switch  (0) 2022.03.02
조건문(1) - if, switch  (0) 2022.03.01
형변환(casting)  (0) 2022.03.01
변수(1)  (0) 2022.03.01
Java(자바)  (0) 2022.03.01